오늘의 프로젝트

localhost_8000_.png

HTML, CSS

https://github.com/devkev00/piroAppleMarket

git clone [email protected]:devkev00/piroAppleMarket.git
cd piroAppleMarket

rm -rf .git # .git 삭제하기 !!

가상환경 설정하기

python -m venv venv

source venv/Scripts/activate # Window
source venv/bin/activate # Mac

pip install -r requirements.txt # 모든 의존성 파일 설치

pip list # 현재 작업환경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패키지 확인

🍇 static & media 활용

static


static 파일이란 개발자들이 웹 사이트를 만들 때 활용하기 위해 미리 서버에 저장한 정적 파일이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CSS, JS 파일들이 속하는데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주로 static이라는 디렉토리를 만들어 저장해둔다. 요청 내용에 따라 바뀌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모든 사용자들이 동일한 내용을 볼 수 있다.

⚒ 어떻게 사용하나요?

  1. static 폴더와 그 하위에 image, css, javascripts 폴더를 생성한다. (server 디렉토리 바로 밑 하위 디렉토리에)

  2. settings.py에 다음과 같이 static 파일을 찾는 경로를 설정해준다.

    # settings.py
    import os
    
    ...
    
    TEMPLATES = [
        {
            'BACKEND': 'django.template.backends.django.DjangoTemplates',
            'DIRS': [BASE_DIR / 'templates'], # 1, template 경로 명시적 지정
            'APP_DIRS': True,
            'OPTIONS': {
                'context_processors': [
                    'django.template.context_processors.debug',
                    'django.template.context_processors.request',
                    'django.contrib.auth.context_processors.auth',
                    'django.contrib.messages.context_processors.messages',  
                ],
            },
        },
    ]
    
    STATIC_URL = '/static/' # 2, 프로젝트 시작 시 자동 생성 
    	
    STATICFILES_DIRS = [ # 3, static 경로 명시적 지정
      BASE_DIR / 'static',
    ]
    
    '''
    # 위와 동일
    STATICFILES_DIRS = [
    	    os.path.join(BASE_DIR, 'static'),
    	]
    
    '''
    
    STATIC_ROOT = BASE_DIR / 'staticfiles' # 4, collectstatic 명령어의 저장 경로
    

이런 거 이해하고 추가합시다

6. Django 정적 파일 기능 이해하기 · Kay on the rails

🔼 정확도가 높은 자료입니다

[Django] - Static file Nginx로 처리